농업관련 보조금이 형평성 없이 특정인에게 집중되는가 하면 사후관리 역시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진도군이 지난 2004년부터 2010년 사이에 군내면 소재 A모 이장에게 보조한 농기계들의 현황을 살펴보면 “눈 먼 국가예산도 억지가 우선”이라는 주민들의 말이 당연하게 다가온다.
진도군은 A씨에게 지난 2004년 권취기 1대에 대해 농기계 보조를 시작한 후 2006년, 고추세척기, 2007년, 볍씨발아기와 곡물건조기를 2009년, 농용콤베어와 친환경농기계인 플라우 그리고 2010년에는 승용이양기를 지원했다.
또 A씨의 부인 앞으로 2004년 저온저장고를 2009년에는 미곡처리시설 그리고 2010년 휴립복토기를 지원 했다.
또한 2008년 곡물건조기1대를 자신의 고모 이름으로 지원받아 A씨가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뿐 아니라 2006년 환경관리센터의 인근마을 숙원사업으로 마을에 배정된 벼 자동화 공동육묘장은 A씨가 현재 축사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진도군의 보조금 사후 관리는 요원한 상황이다.
하물며 2008년 환경관리센터 인근마을 숙원사업으로 배정된 광역방제기 까지 A씨 개인 소유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주민들의 주장이나 진도군의 제재는 한 차례도 없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A씨는 현재 환경관리센터 주민감시원으로 활동하며 월 73만원의 월급을 수령하고 있으며 위 보조금 사업과 관련 있는 아내와 고모 역시 월 90만원의 월급을 받고 기간제 근로자로 근무하고 있어 이 또한 특정인을 위한 특혜가 의심되고 있다.
또 조건불리지역직불금 역시 해당 토지가 아닌데도 지급받고 있다는 의혹도 불거지고 있어 이에 대한 진도군의 대처가 시급한 실정이다.
/채규룡 기자